본문 바로가기
my life/about knowledge

애드센스 수익, 기타소득 vs 사업소득? 세금 신고 방법 총정리

by 노란들녁 2025. 1. 31.
반응형

1. 애드센스 수익의 성격과 세금 부과 대상

애드센스 수익은 기타 소득 또는 사업 소득으로 분류될 수 있습니다.

  • 기타 소득: 비정기적으로 소액의 수익을 얻는 경우
  • 사업 소득: 지속적으로 수익을 창출하는 경우 (블로그, 유튜브 등)

애드센스 수익이 계속적으로 발생한다면 사업 소득으로 보아야 하고, 사업자 등록을 고려해야 합니다.

 


2. 애드센스 수익의 원천징수 (미국 세금)

구글 애드센스 수익은 미국에서 발생하는 소득이므로, 미국 IRS(국세청)에 세금 신고가 필요합니다.

(1) W-8BEN 또는 W-8BEN-E 양식 제출

  • 개인이라면 W-8BEN 양식, 법인이라면 W-8BEN-E 양식을 제출해야 합니다.
  • 해당 양식을 제출하면 한미 조세조약에 따라 미국에서 원천징수되는 세금을 0% 또는 10%로 줄일 수 있습니다.
  • 양식을 제출하지 않으면 기본적으로 30%의 세금이 원천징수됩니다.

(2) 한국에서 미국세금 공제 가능 여부

  • 애드센스 수익에서 미국에서 이미 세금을 냈다면, 한국에서 신고할 때 외국납부세액공제를 받을 수도 있습니다.

 


3. 한국에서의 애드센스 세금 신고

애드센스 수익이 발생했다면 한국에서도 소득세 신고가 필요합니다.

(1) 기타 소득으로 신고하는 경우

  • 일시적인 수익일 경우, **기타소득(기타 인적 용역 소득)**으로 보고 종합소득세 신고 시 합산하면 됩니다.
  • **기타 소득의 기본 공제는 80%**이므로 실제 과세 대상은 20%에 해당합니다.

예) 애드센스 수익 100만 원 → 과세 대상 금액 20만 원 (100만 원 × 20%)
→ 이에 대한 소득세는 세율(6~42%) 적용 후 계산

(2) 사업소득으로 신고하는 경우

  • 애드센스 수익이 정기적으로 발생하고 규모가 크다면, 사업자 등록 후 부가가치세 및 소득세 신고를 해야 합니다.
  • 사업자로 등록하면 종합소득세, 국민연금, 건강보험료 부담이 커질 수 있습니다.

사업자 등록 여부

  • 개인이 아닌 법인 사업자로 등록하면 법인세 적용
  • 개인이 사업자 등록을 하면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
  • 간이과세자로 등록할 수도 있지만, 전자상거래 사업자로는 어려울 수 있음

종합소득세율

과세표준 (연간 소득)세율

1,200만 원 이하 6%
1,200만~4,600만 원 15%
4,600만~8,800만 원 24%
8,800만~1억 5천만 원 35%
1억 5천만~3억 원 38%
3억~5억 원 40%
5억 원 초과 42%

예) 연간 애드센스 수익 3,000만 원
→ 종합소득세 신고 시 1,200만 원 초과분은 15% 세율 적용

 


4. 애드센스 수익 신고 방법

  1. 국세청 홈택스 접속
    • 종합소득세 신고 기간(5월)에 신고 가능
    • 홈택스에서 "소득세 신고하기" 메뉴 이용
  2. 사업자 등록 여부 확인
    • 수익이 크면 사업자 등록 후 부가가치세 및 종합소득세 신고 필요
  3. 기타소득 또는 사업소득 선택
    • 연간 소득 규모와 수익 형태에 따라 선택

 


5. 건강보험 및 국민연금 반영

애드센스 수익이 많아지면 건강보험료와 국민연금 부담도 증가할 수 있습니다.

  • 종합소득세 신고 후 건강보험료 인상 가능
  • 국민연금 납부 대상 확대 가능

 


6. 결론: 애드센스 수익 신고 전략

  • 소액이라면 기타소득으로 신고 (연 300만 원 이하)
  • 정기적으로 큰 금액이라면 사업자 등록 고려
  • 미국 IRS에 W-8BEN 제출 필수 (세금 감면 효과)
  • 연 1,200만 원 이상 수익이라면 종합소득세 대비 필수
  • 건강보험료 인상 가능성도 감안해야 함

📌 정확한 세금 신고는 세무사와 상담하는 것이 가장 안전합니다.

 

 

 

반응형